
동결견(Frozen Shoulder, 오십견)과 통증 완화
동결견은 어깨 관절의 운동 범위 제한과 통증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흔한 질환으로, 인구의 약 2~5%가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제한되며, 회복까지 수개월 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약물이나 물리치료 외에도 비침습적 에너지 기반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고강도 레이저 치료(HILT: High-Intensity Laser Therapy)이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팀이 HILT의 효과를 임상적으로 검증한 무작위대조군(RCT)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연구 목적 및 설계
연구 목적은 HILT가 동결견 환자의 통증 완화, 만족도, 운동 범위(Range of Motion, ROM)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총 6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HILT 그룹과 플라시보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였으며, 각각 3주간 총 9회 치료를 받았다.
평가 항목은 아래와 같다
통증 시각 아날로그 척도(VAS)
치료 만족도
수동 관절 운동 범위(FF, ER, IR)
추적 기간: 치료 전, 3주, 8주, 12주
결과 요약
항목 | HILT 그룹 | 플라시보 그룹 | p-value |
통증 VAS (3주) | 3.2 ± 1.7 | 4.3 ± 2.2 | 0.033 |
통증 VAS (8주) | 2.2 ± 2.0 | 3.4 ± 2.7 |
|
통증 VAS (12주) | 2.0 ± 2.2 | 2.2 ± 2.2 |
|
ROM 변화 | 양 그룹 모두 개선, 유의차 없음 |
환자 만족도 | 유의차 없음 |
- 3주와 8주 시점에서 HILT 그룹의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함
- ROM 및 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
- 12주 시점에서는 양 그룹 모두 통증이 감소되어, 최종 차이는 없었음
연구 결과는 HILT가 초기 통증 완화에는 효과적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물리치료나 운동치료에 앞서 통증을 경감시키는 보조치료(Adjuvant Therapy)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
ROM 회복이나 장기적인 효과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비침습적이고 시술 시간이 짧은 HILT의 특성상, 자기관리 운동과 병행되는 치료 전략으로서 실용성이 높다.
결론
이번 연구는 고강도 레이저 치료가 동결견 환자에게 초기 통증 경감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미를 가진다. 특히 시술 부담이 낮고 안전성이 높다는 점에서, 기존의 약물치료나 운동치료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치료 옵션으로 고려할 수 있다. 향후에는 적정 조사량, 치료 기간, 병용 치료 전략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동결견(Frozen Shoulder, 오십견)과 통증 완화
동결견은 어깨 관절의 운동 범위 제한과 통증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흔한 질환으로, 인구의 약 2~5%가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제한되며, 회복까지 수개월 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약물이나 물리치료 외에도 비침습적 에너지 기반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고강도 레이저 치료(HILT: High-Intensity Laser Therapy)이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연구팀이 HILT의 효과를 임상적으로 검증한 무작위대조군(RCT)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연구 목적 및 설계
연구 목적은 HILT가 동결견 환자의 통증 완화, 만족도, 운동 범위(Range of Motion, ROM)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총 6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HILT 그룹과 플라시보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였으며, 각각 3주간 총 9회 치료를 받았다.
평가 항목은 아래와 같다
통증 시각 아날로그 척도(VAS)
치료 만족도
수동 관절 운동 범위(FF, ER, IR)
추적 기간: 치료 전, 3주, 8주, 12주
결과 요약
- 3주와 8주 시점에서 HILT 그룹의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함
- ROM 및 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
- 12주 시점에서는 양 그룹 모두 통증이 감소되어, 최종 차이는 없었음
연구 결과는 HILT가 초기 통증 완화에는 효과적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물리치료나 운동치료에 앞서 통증을 경감시키는 보조치료(Adjuvant Therapy)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
ROM 회복이나 장기적인 효과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비침습적이고 시술 시간이 짧은 HILT의 특성상, 자기관리 운동과 병행되는 치료 전략으로서 실용성이 높다.
결론
이번 연구는 고강도 레이저 치료가 동결견 환자에게 초기 통증 경감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미를 가진다. 특히 시술 부담이 낮고 안전성이 높다는 점에서, 기존의 약물치료나 운동치료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치료 옵션으로 고려할 수 있다. 향후에는 적정 조사량, 치료 기간, 병용 치료 전략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